'Interven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President-elect Yun Xi Jinping, US-China 'Parties' clash at the UN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한반도 개입’을 요구했고 시 주석은 “양국 국민 혜택”으로 25일 수락했다.
미국과 중국은 25일 유엔 안보리에서 ‘추가제재 결의’와 ‘당사국 책임’으로 충돌했다.
미 국무부는 25일 당사국에 대해 ‘북한 국경 인접국’으로 명시한 논평을 냈다.
윤 당선자는 25일 북한 ICBM발사 다음날 시 주석과 통화에서 “북한의 심각한 도발로 인해 한반도 및 역내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어 국민적 우려가 크다”며 ‘북한 비핵화’에 ‘한반도 관리’ ‘협력’으로 개입을 요구했다.
중국은 이날 통화에서 윤 당선자의 관련 발언을 공개하지 않고, “양국은 ‘이사 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라며 “양국과 두 나라 국민들에게 혜택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시 주석의 답변 공개로 ‘양국 국민 혜택’에서 ‘한국 중국 당사국’에 의한 개입을 밝혔다.
미 국무부는 25일 북한 ICBM 발사(24일)에 대해 "우리는 모든 국가들이 이같은 위반에 대해 북한에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한다"며 "모든 나라, 특히 북한과 국경 접하고 있는 나라들에게 우려해야 할 상황들이 전개되고 있다. ICBM 시험발사로 회귀한 북한의 결정은 명백한 긴장고조 행위"라고 ‘국경 국가인 중국 러시아 한국의 긴장고조’를 지적했다.
장쥔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25일 “현 상황에서 우리는 당사국들이 침착하고 자제하며 올바른 대화와 협의의 궤도에 머물면서 긴장을 악화시키고 오판을 초래할 수 있는 어떤 행동도 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당사국 미국'의 추가제재 결의안 제출에 반대했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이날 유엔 안보리 북한 문제 공개 회의에서 “터무니없고 정당한 이유 없는 긴장 고조 행위이자 국제 비확산 체제와 전체 국제사회에 위협 제기한다. 이번 발사는 안보리의 즉각적 대응 정당화한다”며 북한에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제안했다.
장쥔 중국대사는 “제재 조항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대신 당사국들이 이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실질적 조치 취해야 한다”며 새 제재 반대에 ‘당사국 책임 우선’을 밝혔다.
그린필드 미국대사는 “이번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새 제재 이유를 밝혔다.
포터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김정은 총비서의 ‘미 제국주의와의 장기적 대결 철저히 준비해나갈 것’ 언급 논평에서 "외교의 문이 닫히지 않았다. 우리는 북한이 진지한 협상을 위한 테이블로 나올 것을 촉구한다"며 "미국은 미 본토와 한국 일본의 안보 보장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할 것"이라고 미국 대북 외교와 한미일 군사방위를 구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