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의 군집화는 고질적 정치개입의 적폐를 초래하지만, 해군의 군비증강 주도의 위험성도 크다.
해군은 공동체에 기반한 조직위주의 육군과 다르다.
해군은 충원의 기본이 선원이고, 숙달된 선원이 많은 조건을 갖춰야 해군의 증강이 시작됐다. 일본의 2차대전 개전은 실제 남아도는 선원, 뛰어난 선원들의 사회적 충원이 해군증강으로 이어졌고, 중공업의 급속한 발달로 대형군함의 건조가 태평양 원유공급선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육군의 퇴락은 전통적인 사회적 책임을 점차 배제하고 정치적 충원에 몰입하고, 전문에서는 사회적 분업을 외면한 결과다. 이런 육군의 노쇠화를 복원하기 위해 미국 육군은 사회적 제네럴리스트 실패를 역으로 특화된 스페살리스트로 만들어 군대를 무장집단의 관리체제로 만들었고 특수전 부대 중심의 미국형 세계경찰의 역할을 수행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이끈다.
한국의 문재인 정부 국방부는 이런 미국의 스페셜리스트화를 모방하려 한다.
문제는 여기에서 미국 군대의 스페셜리스트화의 본질은 강경보수화 주역인 공화당의 네오콘이 주도자가 된 민간군사기업PMC이다.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전에서 잔혹성을 보여준 미국식 용병 헬리버튼 같은 경우도 부통령 체제가 오랜기간 CEO였고 수천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런 민간군사조직이 미국 공화당 전략가들의 대외전략을 수행하는 주요 기구로 유용성을 밝휘하는 것인 전략의 이중화 구조 때문이다.
마치 공개적 정책으로 일반의 이목을 집중시켜 여론의 비판과 검증을 거치는 동안 자신들만이 공유하는 전략으로 테러전쟁을 주도해 오면서 국제갈등 유발한 주범을 대중의 감시로 부터 떼어 놓는 전략의 수행과 같다.
남북협상에서도 이런 추세는 그대로 나타난다.
남북협상에서 진전과정보다 갈등증폭 유도가 이들의 전략모형에 잠복된 이유도 이런 이중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