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최대수입국인 중국의 코로나 감염확산에 트럼프발 원유증감 전략으로 국제유가는 12일 상승하며 국제전략 중심에 진입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산 셰일석유 증산과 이란원유 봉쇄에서 시작된 중동의 원유증감 전략은 중국 코로나 확산에 지난해 시작된 감산이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연결되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WTI) 원유선물은 전일보다 배럴당 1.23달러(2.46%) 상승한 55.79달러에 12일 마감됐다.외신들은 중국발 코로나19 확산으로 하락세이던 국제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추가 감산 합의로 인해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OPEC은 12일 발표한 월보에서 중국발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감안해 올해 세계 원유수요 감소를 예상해 증가량 예상치를 23% 하향조정했고, 하루 증대량을 99만 배럴에서 23만 배럴을 감축조정했고, 전체 원유 수요량 예상치를 하루 20만 배럴을 감축한 2930만 배럴로 잡았다.
외신들은 OPEC이 세계 최대 원유소비국 중국의 감염병 악영향으로 세계 원유수요 증가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정했고, "지금으로선 중국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계속 감시 검증할 필요 있다"고 월보를 통해 밝혔다.
OPEC 산유국과 러시아 등은 트럼프 행정부의 셰일공세에 지난해 6월말까지 원유 감산정책을 쓰다가 7월에 2020년 3월까지 연장합의했고, 다시 이번 2월에 감산규모를 키우고 연장도 합의했다.
OPEC은 지난해 7월 1일 오스트리아 정례회의에서 ‘2020년 3월까지 일일생산량 감축 연장’을 결정하며 ‘OPEC국가 일일 80만 배럴, 비OPEC국가 일일 40만 배럴 감산연장’을 발표하며,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 확대로 인해 원유 공급이 증가하나 글로벌 무역분쟁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 둔화 등으로 원유 수요 감소가 예측된다”고 감산연장 합의이유를 밝혔다.
OPEC 주도국인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원유봉쇄를 2018년 시작하며 미국 지원을 위해 ‘원유 일일 100만배럴 증산’을 밝혔고, 공화당이 중간선거(11월)에 승리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원유 거래봉쇄 정책에서 한국 등에 ‘예외 면제국’ 거래를 시작하며 국제원유가 급락하자, 사우디 산업에너지광물장관이 UAE 아부다비에서 장관급회담을 11일 열고 ‘12월부터 50만배럴 감산’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산 셰일원유 공급확대와 이란원유봉쇄에서 미국산 셰일 수입확대 정책을 첫 사례로 앞장선 한국은 이란봉쇄에 대해 ‘면제국’ 전략을 채택했다.
이스라엘은 민주당 오바마의 반대로 예루살렘과 요르단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 확대에 제동이 걸렸었고, 트럼프 공화당에 의한 ‘동의적법’을 밝히고 합병강행을 10일 예고했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요르단계곡 유대인 정착촌에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인 요르단강 서안합병에 트럼프 대통령이 동의했다며 합병강행을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는 요르단강 서안 합병에 대해 "우리는 이 일을 미국인들의 동의를 얻어 진행할 것이며 이는 일방적이 아니다"라며 "트럼프는 요르단계곡과 사해 북부, 유대와 사마리아(요르단강 서안) 내 모든 정착촌에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겠다고 말했다. 이것은 팔레스타인인들의 동의에 달린 것은 아니다"고 밝혀 이란과의 충돌을 예고했고, 이스라엘 군부는 중국발 코로나의 ‘세균유출설’을 최초 시작했다.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중동평화구상'을 "난동꾼 미국은 이른바 '세기의 거래'라는 계획을 꺼내 들었다"라며 "미국의 공작은 트럼프보다 먼저 사망할 것이다. 미국은 팔레스타인 소유를 놓고 시온주의자(이스라엘)와 협잡했다. 팔레스타인의 무장조직은 굳건히 버티고 계속 저항할 것이며 그들을 돕는 것은 이란의 의무이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지원하겠다"라고 5일 밝혔다.
이어 그는 팔레스타인 해법에 대해 "점령된 땅(이스라엘 영토)에 이주한 자들을 제외하고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을 포함해 전세계의 팔레스타인 국민이 투표로 정부를 수립하고 그 정부가 네타냐후(이스라엘 총리)와 같은 이주민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라며 “이미 제안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북미정상회담 불필요’를 참모들에게 밝혔고, 오브라이언 안보보좌관은 11일 북한과 새로운 정상회담이 적절한지 지켜봐야 한다고 전략연구소에서 밝혀, 트럼프발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을 시사했다.
2011년 팔레스타인 영토내 이스라엘 정착촌을 불법으로 규정한 유엔안보리 결의안에 130개국이 발의하고 안보리 이사국 15개국 중 14개국이 찬성하자 오바마 행정부의 거부권 행사에 개입했던 ‘미국 이스라엘 우호촉진협회(AIPAC)' 로비가 부각됐고, 이번 트럼프 체제에서 유대인 사위 쿠슈너 백악관 보좌관이 중동평화안과 팔레스타인 투자개발계획의 주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