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이 경제활동 통제로 확대되며 유럽국가들이 방역을 경제우위에 두자 복잡한 국제정치와 저금리 경제거품이 겹쳐지고 있다.
이탈리아는 약국 식료품점 제외 영업장을 폐쇄로 모든 상업행위를 금지했고, 덴마크는 공공부문 휴업과 민간부문 통제를 11일 시작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1일 코로나 확산에 2대륙 이상 유행을 선언하는 팬데믹(대유행)을 선포하며 ‘지역감염’에 경고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11일 대국민 연설로 "13일부터 영국 제외 유럽에서 미국 유입자 30일간 입국중단"이라며 "새로운 사례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방역우선을 밝혔다.
유럽 각국의 상업적 경제활동 통제는 이탈리아가 애초 이동제한령으로 시작해 10일부터 식당 카페 영업제한(6시 종료)에서 이날 전면 영업중단으로 확대하며 미용실 술집 등을 포함하고 약국 식료품점 은행은 제외하였고, 공공시스템으로 정부시설인 공공교통과 우편서비스 유지와 상업활동은 공장과 농장 운영만 지속했다.
유럽대륙으로 들어오는 물류중심지인 덴마크는 경찰·소방 특수직 공무원을 제외한 모든 공적 기능 정지(유급휴가)를 시행하고 민간부문에 재택근무 권고와 100명 이상 실내집회 금지, 학교 2주간 휴교를 통해 ‘기업 피해, 실업 증가 감수’를 인정하며 방역우선을 선택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11일 브리핑에서 고위험 사업장 영업정지에 대해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전격적 조치가 필요해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높인다고 하면, 이런 시설들에 대한 관리 강화도 하나의 방역대책으로 보고 있다"며 가능성을 예고했다.
미 NBC는 “금융사를 빼고 지난해 3분기 미국 기업부채가 10조1천억 달러로 커져 2013년 7조1천억 달러에서 3조 증가했다”며 감염병 재난으로 “매출이 줄면 기업 부실도 커진다”고 밝히며, 모건스탠리 전 분석가를 인용해 “미 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부채를 늘렸고, 트럼프 체제는 최저 실업률 유지에도 저금리로 양적 완화를 강화해 시장 버블이 커졌다”면서 ‘장기 저금리에 의한 경제거품’에 이번 코로나 재난이 덮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코로나재난으로 중국 기업의 달러부채 상환위험이 커지며 1월에 91억6천만달러 달러채권 발행이 2월에 28억7천만달러로 급감했으며, 중국의 전체 달러부채 2조3천억달러 상태에서 기업의 달러채권 추가발행이 어려워지면서 위안화 환율 변동 확대를 홍콩언론들이 12일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