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의원이 국회입문 동기로 ‘일본 민주화’를 밝혔고, 문재인 대통령은 앞서 3.1절 기념사에서 ‘안중근 의사는 일본에 대한 적대가 아니라 함께 동양평화를 이루자는 본뜻을 밝혔고, 3.1독립운동 정신도 같다’고 일본과의 동양평화를 밝혔다.
윤 의원은 4월 3일 통일뉴스와 인터뷰로 의원입문 동기를 밝히며 “일본의 민주화다”면서 “국제적 공조를 통해서 국제적 압력, 정치적으로 변화할 수 있게끔 어떤 연대를 만들어내는 이 두 가지가 함께 일어나야 한다”고 밝히고, “외교통일위야 말로 진정한 식민지 책임을 청산해내는 숙제가 놓여져 있는 위원회이고, 30년 동안 거리에서 부드러운 혁명이 진짜 무엇인지 몸소 배웠던 사람으로서 또 일본의 정치권을, 일본의 시민사회를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현실에 맞는 외교전략, 외교정책을 수립하는 일에도 저를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 꼭 윤미향 외교통일위 가야 된다. 한국 정부가 풀 수 없는 일, 윤미향이 풀 수 있다”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윤 의원은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에 진실규명도 촉구해 나가고, 그 진실 위에 일본 정부에 책임을 촉구해 나가는 그런 노력이 한쪽에서는 계속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면서 “이런 인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자외교를 벌였으면 좋겠다. 유럽연합, 미국 등등의 나라들에게 뭔가 협력을 이끌어내는 활동이 필요하다”고 미국과 유럽 국가들을 통한 ‘일본 민주화’ 방식을 밝혔다.
윤 의원은 보좌관으로 통일뉴스 기자를 임명했다.
문 대통령은 3.1기념사에서 “일본은 언제나 가장 가까운 이웃입니다. 안중근 의사는 일본의 침략행위에 무력으로 맞섰지만, 일본에 대한 적대를 위한 것이 아니라 함께 동양평화를 이루자는 것이 본뜻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3·1 독립운동의 정신도 같았습니다”고 말해, 안중근의사 사형집행(1910년 3월 26일) 전 미완성으로 남긴 ①서 ②전감에 없는 동양평화에 대해 ‘참뜻’이라고 말했다.
동양평화론에 기술되지 않고 일본어로 기록된 ‘청취서’(일제 판사의 기록으로 보임)에 나온 내용은 *영토는 주인이 바뀔 수 없는 것이므로 일본이 전승 대가로 차지한 다롄과 뤼순을 중국에 돌려주어야 한다, *이곳을 대한제국, 중국, 일본 세 나라 동양평화 실현의 중심지로 삼는다, *세 나라의 능력 있는 자들을 그 땅에 모아 동양평화회라는 경제공동체를 만들어 전 세계에 공표한다, *재정확보를 위해 개인 회원을 모집하고 각 회원에게서 1엔을 회비로 징수하고. 은행을 설립해 각 나라가 공유하는 화폐 발행하고, 중요 지역마다 평화지회를 마련하는 동시에 은행 지점을 두어 금융 및 재정 문제를 해결한다 등이다. 일본어 기록문의 핵심 내용은 <일본, 청, 대한제국의 황제가 그 당시 세계 종교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던 로마 가톨릭 교황에게 맹세하고 왕관을 쓰면 전 세계 민중으로부터 신뢰를 얻게 된다>는 결론이라서, 일어판 ‘동양평화론’이 교황에게 최고위 권력을 주는 방식에 대한 안중근 의사의 친필기록 진위가 검증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는 외교안보라인 대부분이 가톨릭 신자로 채워졌고, 미국 포린어페어스는 2017년 8월 '국제정치 평화와 가톨릭 평화가 다르다'며 문 대통령의 평화는 가톨릭 평화라고 보도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8일) 윤미향 의원 및 정의연 논란과 관련 수보회의에서 "기부금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면서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하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 피해자 할머니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이런 시도는) 반인륜적 전쟁범죄 고발과 여성인권 옹호에 헌신한 위안부 운동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 도전"이라고 말하고, "위안부 운동은 현재진행형"이며 "피해자의 상처는 치유되지 못했고 진정한 사과와 화해에 이르지 못했다. 지금의 시련이 위안부 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