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이 외무장관 회담으로 바이든체제에서 경제대국의 미중일 3국체제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왕이 중 외교부장이 24일 방일해 모테기 외무상과 회담하고 이어 스가 총리와 회담으로 중일 양국이 긴밀한 경협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앞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20일 APEC 정상회의에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구상 역시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고, ‘글로벌타임스’는 CPTPP 가입 검토에 대해 "세계화가 역풍을 맞고 APEC에 협력증진을 위한 새 모멘텀이 필요한 상황에서 CPTPP가 아태지역 협력 촉진할 최선의 수단이 될 것"이라는 전문가 논평을 22일 게재했다.
중국과 일본은 중국이 미국 국채를 팔고 일본 국채 매입을 늘리면서 양국간 경협체제 접근이 예고됐고, 트럼프 대통령이 차단하려던 CPTPP 태평양경협 체제를 일본이 대체하여 복원시킨 것에 중국이 가입 검토를 밝히며 환태평양에 미중일 삼각체제가 시작됐다.
‘글로벌타임스’는 22일 양쩌루이 중국태평양경제협력전국위원회 리서치국장이 "트럼프 행정부가 취한 보호무역주의의 결과, 미국의 글로벌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미국의 다음 정부가 이를 바로잡을 게 확실하다. 미국이 앞으로 CPTPP에 복귀할 것"이라고 바이든 체제에 대응을 22일 밝혔다.
청와대는 바이든 체제가 시작된 직후 15일 중국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가입을 밝히며, CPTPP에 대해 “필요하다면 들어갈 수 있겠지만, 지금 결정할 시기는 아닌 것 같다”며 가입부정을 밝혔다.
왕이 외교부장의 방일을 보도한 NHK는 중국 국무원의 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뤼야오둥 외교연구실장이 "중국과 일본은 세계 제2 제3 경제대국으로 양국 경제관계의 발전은 정치 및 안보 긴장 완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번 방문에서는 경제협력을 위한 논의를 진행해 역사 인식과 영토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는 인터뷰를 이날 보도해, 미중일의 경제대국 1-2-3위 경협체제 강화우선을 밝혔다.
미국채 보유 1위였던 중국은 9월에 62억2천만 달러 규모를 팔아 보유고 1조617억 달러로 2위가 됐고 일본이 1조2762억 달러로 1위보유국이 됐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9일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경제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중국국채가 40억 유로 규모의 유로화 표시로 발행됐고, 사상 처음 마이너스 금리 국채가 나올 정도로 중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고 19일 보도했다.
트럼프 체제의 오브라이언 안보보좌관은 20일 일본을 찾아 기타무라 시게루 국가안보국장과 미군 요코타기지에서 회담했고, 일본 언론은 24일 왕이 외교부장의 방일을 앞두고 미일 간 인식을 조율할 목적도 있다고 보도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23일 필리핀에서 기자회견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약속 지키길 바란다. 이는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북한에도 엄청난 진전이 될 것"이라며 비핵화 달성 시 북한에 적용될 예로 “베트남은 미국과 한때 전쟁 한 국가지만 지금은 ‘번영 누리는 행복한 나라가 됐다’”고 말하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양국이 취하고 있는 조치’에 대해 “청와대와 주기적 연락을 취하고 있고 한국에 수만 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고, 일본 방문에서 서훈 안보실장과의 한미일 3국 안보실장 회의는 불발시켰다.
친트럼프의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정보기관 모사드 요시 코헨 국장과 전용기로 22일 비밀리에 사우디를 찾아 무함마드 왕세자와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을 만났다고 외신을 인용해 연합뉴스가 24일 보도했다.
바이든 체제는 24일 애브릴 헤인스 전 CIA부국장을 CIA감독기구인 국가정보국장(DNI)에 지명해 공작부문 축소와 정보라인 복원으로 코리아임무센터(KMC) 대북전략 청산을 예고했고, 블링컨 국무장관 후보자는 트럼프체제에서 파기한 이란핵합의(JCPOA) 설계자이며 IS(이슬람국가) 퇴치와 ‘아시아 재균형 정책’ 입안자이다.
블링컨 후보자는 앞서 7월에 “직면한 큰 문제들, 기후변화이든, 감염병 대유행이든, 나쁜 무기의 확산이든, 어떤 문제도 혼자서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다. 미국처럼 강력한 나라도 그 문제들을 홀로 처리할 수 없다”고 동맹과 공정연대를 말했었다고 뉴욕타임스가 밝혔다.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체제에서 초기에 탈퇴했던 기후협약 복원을 겨냥해 기후변화 담당 대통령 특사로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을 지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