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구입에 대해 정부는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는 계약을 마쳤고, 화이자와 모더나는 구매약관을 통해 물량을 확보했다”고 밝히며 ‘구매약관’ 내역은 공개하지 않았다.
백신 해외구매를 설명한 박능후 보건장관은 "정부는 K-방역이 지금까지 그렇게 해 왔듯이 백신의 도입 과정, 개발 과정 등 전 과정에 대해서 항상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 여러분께 소상히 알려드리겠다"고 8일 공개 설명했고 이에 앞서 구매에 대해 정부가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구매약관’ 용어를 썼다.
박 장관은 이날 "백신이 아직 개발 완료 전 단계이고, 부작용 발생 등 개발 백신의 실패 가능성이 여전히 있는 만큼 국민 건강과 안심을 위해 당초 발표한 3천만명분보다 많은 백신을 선구매하기로 했다"고 말했고, 해외 제약사와의 개별 계약으로 확보하려는 3천400만명분은 총 접종 횟수 기준으로 6천400만 도즈(1회 접종분)이며, 제약사별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모더나 각 2천만 도즈, 존슨앤드존슨-얀센 400만 도즈로 밝혔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계약 완료’, 화이자·존슨앤드존슨-얀센은 ‘구매 확정서’, 모더나는 ‘공급 확약서’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합의를 통해 구매 물량을 확정했으며 이달 중 정식 계약서 체결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모더나의 스테파니 방셀 CEO는 앞서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로 “올해 생산량을 1000배 늘렸지만 넘치는 수요가 공급체인에 부담을 주고 있다. 원료 확보가 관건”이라며, 원료 부족에 대해 “하나라도 빠지면 기다려야 한다”고 생산지연을 밝혀 한국과 ‘공급 확약서’를 체결했다.
미국 화이자의 원료 부족에 대해 올해 출하목표 1억회분에서 5천만회분으로 절반 감축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하며, 미국 정부의 백신 공급량이 올해 3억회분에서 3500만~4000만회분으로 대폭 감축됐고 영국은 절반인 400만~500만회분으로 감축한 상태에서 한국은 ‘구매 확정서’를 체결했다.
정부가 ‘계약체결’로 밝힌 아스트라제네카는 파스칼 소리오 CEO가 지난달 26일 블룸버그통신 인터뷰로 실수에 의한 효과 증가(65%에서 90%)에 대해 “백신이 더 나은 효과를 보이는 방식을 발견한 만큼 이를 입증해야 한다”며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혀 연내 임상종료가 불가능해졌다.
선구매에 나섰던 일본 정부는 1억4500만명분을 확보했다며 코로나백신 접종자 부작용 사고에 대해 제조사 대신 정부가 손해배상을 부담하는 입법에 들어갔고 한국은 감염병예방법 71조에 예방접종에서 질병 발생, 장애인 되는 경우, 사망 등 중대과실 3가지에 대해 보상을 명시했다.
양동교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부작용에 대해 “코로나19 백신은 감염병예방법 사례에 따라 보다 세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 같다. 보상 시스템을 갖춰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이 유일하게 '계약'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연구개발 총괄자인 애드리안 힐 제너 연구소장은 미국 NBC뉴스에 출연해 "FDA가 임상시험이 끝나길 기다리면 내년 중반에나 미국에서 백신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9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