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of corporate debt drives 3.4% growth rate, 30% of real estate loans are in PF ‘bubble’
기업부채가 연간 8.3% 증가에 명목성장이 3.4%를 견인하고 실제 성장률은 부동산 대출이 기업부채의 30% 차지하며 기업의 조직적 대출로 지대가격 거품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보고서는 기업부채의 연평균 증가 속도도 명목GDP보다 급속 진행되면서, 기업부채의 연평균 증가율은 2010~2017년 중 4.3%에서 2018~2023년에는 8.3%이며, 2018~2023년 기업의 연평균 명목성장률은 3.4%에 그쳐 두 배 이상 격차가 나왔다.
한국은행의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은 기업부채가 지난해 말 2734조원으로 2018년 이후 모두 1036조원 증가로 20일 밝혔다.
기업부채 급등은 부동산 대출에서 2018~2023년 중 301조원 급증하며 전체 기업부채 증가 규모의 29%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 대출잔액 비율은 2017년 13.1%에서 2023년 24.1%로 급등했다.
부동산 거품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 대출잔액 비율이 2017년 13.1%에서 2023년 24.1%로 급등하며 이를 기업의 부동산 대출이 주도하고 이를 경제성장으로 각색했다.
한은 금융시장국의 보고서 작성 연구팀은 이날 "이러한 부동산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확대에는 금융권의 수익 추구 행태가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비은행권이 2010년대 중반 이후 수익성 높은 부동산 개발 관련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을 중심으로 기업대출이 크게 확대하며 새마을금고, 상호금융 등의 대출 증가세가 높았다"고, 부동산 급등의 원인을 밝혔다.
한국은행은 개인사업자대출이 2017~2019년 연평균 24조원(연평균 증가율 10%) 증가에서 코로나 피해기업에 대한 보증 지원 및 대출상환 유예 등에 따라 2020~2022년 연평균 54조원(증가율 15%)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정부부채 증가 속도도 빨라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는 ‘재정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57% 수준인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30년에 70%로 급상승하고 2045년 100%를 넘어서고 2050년에 120%를 기록할 것으로 19일 밝혔다.
IMF의 한국 정부부채 추계는 2019년 42.1%(GDP 대비)에서 2021년에 51.3%로 상승했고, 2023년 55.2%로 급등하고 올해 56.6%가 되며, 2029년에 59.4%로 60%선에 이를 것으로 밝혔다.
정부부채는 국가채무(국채·차입금·국고채무부담행위)에서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가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