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calls China a ‘Russian war savior’ as an infrastructure attacker, ‘presidential election topic’
G7 정상회의가 중국을 ‘러시아의 전쟁기계 구세주’로 공동의 적이 되면서 불과 1년전 ‘전략적 파트너’ ‘고객’에서 급선회하며 미국내 인프라에 중국 공격 가능으로 미국 대선 소재가 됐다.
이탈리아에서 열린 G7(선진7개국) 정상회담 공동성명은 "우리는 러시아의 전쟁 기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중국과 제3국의 행위자들에 대해 계속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우리의 법률 체계에 부합하는 금융 기관과 러시아의 방위 산업 기반 물품 획득을 용이하게 하는 중국 내 기타 기관이 포함된다"고 5일 밝혔다.
독일 남부 엘마우에서 2022년 7월 26일 열린 G7 정상회의는 개발도상국 경제지원으로 중국의 경제지원체제인 일대일로 차단이 우선 목표로 제시됐다
바이든 미 대통령과 G7개국들은 러시아산 금의 새로운 수입 금지 발표하고 중국 일대일로에 대응할 새 프레임워크인 글로벌 인프라 투자 파트너십(PGII)을 체결했다.
바이든 미 대통령은 13일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무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며 "그래서, 그것은 사실상 러시아를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탈리아 풀리아의 올해 G7 공동성명은 특히 중국이 미국과 유럽의 주요 인프라에 대한 일련의 주요 해킹을 저질렀다고 비난하면서 중국에 대해 "사이버 공간에서 책임감 있게 행동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을 공동 촉구하며 "우리 시민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위협하고 혁신을 저해하며 우리의 핵심 인프라를 위험에 빠뜨리는 중국에서 비롯된 지속적이고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방해하고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을 명시했다.
공동성명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총 28개의 중국에 대한 언급이 나왔고, 거의 모든 부분이 중국을 악의적 세력으로 묘사하고 있다”며 “G7 정상회담 내내 중국은 정상회담의 마지막 성명인 ‘러시아의 전쟁 기계의 구세주’로서 숨어 있었다. 남중국해에서 위협이 심화되고 있고, 서구 시장에 전기차를 덤핑하고 첨단 기술 산업에 필요한 핵심 광물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하는 변덕스러운 경제 행위자”라고 밝혔다.
G7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주제는 앞서 두 번의 정상회담에서 공식적으로 거의 제기되지 않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핵무기 위협’이 나오자 ‘중재자로서 중국’에 대한 평가가 우세했다.
이번 성명은 "우리는 러시아의 전쟁 기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중국과 제3국의 행위자들에 대해 계속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우리의 법률 체계에 부합하는 금융 기관과 러시아의 방위 산업 기반 물품 획득을 용이하게 하는 중국 내 기타 기관이 포함된다"고 직접 제재 대상으로 올렸다.
대중국 강경 전환 배경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는 지난 1년 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시 주석의 시각이 바뀌었고, 중국과 '제한 없는 동반자 관계'를 선언한 푸틴 대통령을 점점 더 지지할 것이라는 믿음이 커지고 있다”며 “몇 달부터 대부분의 행정부 관리들은 생각이 바뀌었고, 일부 행정부 관리들은 중국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주최하는 평화 회담에 참가하는 국가들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에 등장한 ‘인프라 해킹’에 대해 “인프라 언급은 미국이 '볼트 태풍'이라 불리는 중국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며 “미국 정보 당국은 중국이 미국과 동맹국의 수도 시스템, 전력망 및 항만 운영에 중국산 악성코드를 심으려는 정교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고 NYT가 밝혔다.
미 행정부 관리들의 의회 증언과 인터뷰를 분석한 NYT는 인프라 해킹의 악성코드 진짜 목적이 애포 대만 위기 속에서 미국의 중요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여 미군의 대응을 늦추고 대만의 독립을 유지하는 것을 넘어서면서 이제는 미국인들에게 ‘수도물을 다시 켤 수 있는가’에 인프라 혼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미 연방수사국(FBI)이 지난해 2월 중국 풍선 사건 수사로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에서 격추된 중국 정찰 풍선에서 회수한 장비를 조사했고 당시 미국 정보기관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더 우려스러운 침입자, 즉 괌과 미국 내 다른 지역의 통신 시스템에 나타나는 정체불명의 컴퓨터 코드를 탐지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코드 발견에 대해 “중국 정부 해킹 그룹에 의해 설치됐다”며 “코드는 태평양 항구와 광대한 미국 공군 기지가 있는 괌이 대만 침공이나 봉쇄에 대한 미군 대응의 중심이 될 것”으로 밝혔다.
NYT는 당시 “이 작전은 침입을 추적하기 어렵게 만들기 위해 때로는 가정용 라우터 및 기타 인터넷에 연결된 일반 소비자 장치를 통해 매우 은밀하게 수행됐다”며 “이 코드는 ‘웹 셸’이라 불리며 서버에 대한 원격 액세스 가능의 악성 스크립트로서, 홈 라우터는 특히 소프트웨어 및 보호 기능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구형 모델에 특히 취약하다”고 밝혔다.
미국은 국방부, 정보기관, 국가안보 관계자들을 동원해 중국이 미국과 전 세계 군사 기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 통신 시스템, 물 공급 통제하는 네트워크 등에 숨겨져 있을 악성 컴퓨터 코드를 찾기 시작했고, 이는 의회 증언과 관계자 인터뷰로 미국내에 두려움을 은밀히 확산했고 이번에 대선 소재가 됐다.
이 멀웨어의 발견은 애초 중국 해커들이 향후 몇 년 동안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를 포함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 미국의 군사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고안된 코드를 삽입으로 인식해 ‘대외 안보’의 영역이었으나, 선거가 민주 공화 양당간의 각축이 치열해 지면서 국내용으로 전환됐다.
공화당 장악의 하원 관계자는 익명의 인터뷰로 멀웨어에 대응해 "시한폭탄"이라며, “중국이 미군 기지에 대한 전력, 수도, 통신 차단으로 미군 배치나 재보급 작전을 방해하거나 늦출 수 있는 권한”으로 군사 영역으로 한정했으나 차츰 행정부 관리들은 동일 인프라가 종종 일반 미국인의 주택과 사업체에 공급되는 것으로 영역을 급속히 확대시켰다.
미국 언론이 ‘멀웨어 캠페인’으로 다루는 중국 인프라 해킹 소재는 애초 풍선 사건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미 공군기지가 있는 태평양 섬인 괌 및 미국 내 다른 지역의 통신 시스템에서 컴퓨터 코드 감지’에서 미국내 물 전기 공급망의 인프라 공격 가능으로 급전직하됐고 언론이 확대 기여하고 이번에 G7을 통해 미국 대선의 중요 변수사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