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battery investment concentrated in 8 Moroccan areas Korea ‘excluded’ in the face of U.S. subsidies
중국 배터리 투자가 북아프리카 모로코로 집중되면서 미국 보조금의 새 대결장이 되면서 한국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미국이 국내 전기 자동차 생산을 늘리고 중국의 공급망 지배력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인플레감축법과 새로운 보조금 제도에서 중국 제조업체가 예상치 못한 곳인 모로코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배터리 핵심 광물을 추출하는 기업, 양극재, 음극재, 전해조 제조업체, BYD와 같은 자동차 제조업체에 수년간 보조금을 지급해 왔고 이들 기업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모로코에 투자하면서 중국 제조업체를 공급망에서 분리하는 장기 전략이 시작됐다고 AP가 2일 보도했다.
이 전략에 대해 배터리 기업과 투자자의 고문인 크리스 베리는 수십 년은 "오랫동안 중국의 영향력을 받지 않는 리튬 이온 배터리 공급망은 없을 것"이라고 AP에 말했다.
복잡한 미국 보조금 제도와 자유무역협정(FTA) 사이에서 전기차 전환 추세의 틈바구니는 장악한 중국이 모로코 탕헤르 근처의 구불구불한 언덕과 대서양 근처의 산업 단지에서 미국의 자동차 구매자에게 7,500달러의 크레딧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EV)용 부품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공장 계획을 발표했다고 AP가 집중 보도했다.
AP는 “한국과 멕시코 등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서도 비슷한 투자가 발표됐으나 모로코와 같은 호황을 누리는 국가는 거의 없다”며 자체 집계에 근거해 “바이든 대통령이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고안된 4,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서명 이후 최소 8개의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가 북아프리카 왕국에 대한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컨설팅 회사인 우드 매켄지(Wood Mackenzie)의 선임 배터리 애널리스트인 케빈 샹(Kevin Shang)은 "오랫동안 배터리 공급망을 지배해온 중국 업체들이 모로코와 같은 미국 무역 파트너로 사업을 이전함으로써 테슬라와 제너럴 모터스와 같은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의 수요 증가에 따라 현금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모로코가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고 있고 중국 기업들은 이 큰 파티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AP에 말했다.
남부 유럽에서 지중해 입구의 모로코 북부 시골은 지중해의 항구에는 기차는 승객을 태우지 않고 하루에 세 차례 탕헤르 외곽의 르노 공장에서 수백 대의 자동차를 범퍼와 범퍼에 쌓아 올려 유럽 대리점으로 운송하는 선박으로 운송한다고 AP가 지난달 5월 16일 보도했다.
모로코는 기업 인센티브와 화물 철도 노선과 같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실상 존재하지 않고 상상도 못하던 자동차 산업을 20년도 채 되지 않아 아프리카 최대 규모로 성장시켰다.
이제 모로코 왕국은 중국, 인도, 일본보다 유럽에 더 많은 자동차를 공급하고 있고 연간 70만대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모로코 공무원들은 전기 자동차 프로젝트를 위해 경쟁함으로써 자동차 제조 거물로서의 모로코의 역할을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이 EV로 전환되고 자동화에 추세에서 아프리카의 몇 안 되는 산업화 성공 사례 중 하나가 경쟁력 유지할 수 있을지 가름하고 있다.
AP는 현재 모로코가 자동차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250개 이상의 회사를 운영하고 모로코의 자동차 산업은 현재 국내 총생산의 22% 비중으로 급성장하며 수출액의 140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애초 모로코에서 가장 큰 민간 고용주인 프랑스 자동차사 르노는 모로코를 "산데로 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모로코가 거의 모든 소형 다치아 산데로 생산 기지였고, 이제는 중위소득이 월 2,150달러인 농업 경제체제가 탕헤르, 케니트라, 엘 자디다의 시골 외곽에 미국, 유럽, 중국 부품 제조업체로 가득 찬 거대한 산업 단지로 변신했다.
중국 최대 배터리 양극재 생산업체 중 하나인 CNGR이 지난 9월 모로코 왕실의 투자 그룹인 알 마다(Al Mada)와 합작 투자하여 "세계 및 범대서양 지역의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20억 달러 규모의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CNGR 프로젝트의 지분을 50% 약간 넘게 소유하고 있고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을 겨냥하고 있다.
유럽 사업부의 CEO인 토르스텐 라어스(Thorsten Lahrs)는 “자사의 양극재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이사회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IRA의 물결을 타려면 신속하게 실행하고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우리는 해석이나 규칙의 모든 변경 사항을 준수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고 AP에 말했다.
AP는 그가 “그렇지 않다면 중국은 중국에서 수입한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유럽을 포함한 다른 시장으로 눈을 돌릴 것”이라며, 중국 배터리 프로젝트에는 최소 3개의 합작 투자와 모로코와 미국의 무역 관계를 언급하는 몇 개의 합작 투자가 포함된다고 밝혔다.
중국 투자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중국-독일 배터리 제조업체인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Tech)로, 지난해 모로코와 아프리카 최초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64억 달러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의 LG화학과 중국의 화유코발트가 합작회사인 유산(右山)도 모로코에 투자했고, AP는 이 투자에 대해 "모로코가 미국 자유무역협정(FTA)에 서명했기 때문에 북미 시장에 공급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의해 보조금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미국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소유 지분을 조정할 것이라고 AP에 밝혔다.
중국 BTR 그룹은 지난 4월 양극재 공장 건설을 발표하면서 모로코가 미국 및 유럽과 교역을 통해 "대부분의 제조 제품이 이 지역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AP에 밝혔다.
모로코 산업통상부에서 일했던 공급망 전문가 압델모님 아마흐라(Abdelmonim Amachraa)는 모로코가 "중국과 미국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없을 때 공존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이익을 얻고 있다“고 AP에 말했다.
모로코의 공무원들은 동서양의 자동차 공급망 상하에서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공적으로나 비공개로 노력해 왔으며 스텔란티스와 르노를 포함하여 자동차 또는 그 부품을 제조하는 250개 이상의 회사와 시트, 엔진, 충격 흡수 장치 및 바퀴를 만드는 중국, 일본, 미국 및 한국 공장이 있고 자동차 산업은 연간 140억 달러의 자동차와 부품 수출로 성장했다.
모로코에 대한 투자에 대해 “워싱턴에서는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경종을 울렸다”면서 “문제는 전기차 공급망과 전기차 채택을 늘리고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복잡성이다”고 밝혔다.
AP는 “미국 에너지부와 재무부는 중국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충분한 차량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미묘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에너지부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대한 규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의 모로코 전략은 미국 공급망 차단 대응에서 한국의 지렛대 역할을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