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1086

한국에 ‘핵 강화’ 미 공화당주도 민주당 ‘반대’ 대립

US Republican-led Democrats 'oppose' confrontation with 'nuclear enhancement' in Korea 북핵에 맞서 남한에 ‘핵 무력 강화’가 미국 공화당에 의해 주도되며 미 민주당이 반대하는 전략 대결이 나왔다. 미 상원 군사위 공화당 간사인 제임스 인호프 의원은 13일 북핵 정책화에 대해 “앞으로 미국과 동맹의 역내 미사일 방어 역량을 향상하는 데 초점 맞추고, 해상 발사 핵 순항 미사일 프로그램과 같은 이미 많이 늦어진 미국의 핵 억지력 강화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핵무장 강화’를 미국의소리(VOA)에 밝혔다.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원장인 민주당의 에드워드 마키 의원은 이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와 북한 지도자들..

안보 2022.09.14

North Korea’s ‘long-term war on nuclear policy’ Vs South Korea’s ‘free camp block’

North Korea has entered a long-term war with its nuclear policy, and South Korea is attempting to block the “free camp”. “With quarantine restrictions in place for the next five years, we will have a very challenging Korean Peninsula scenario,” said Hu Chiouping, a professor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Malaysia. If we don't, we will see North Korea continue to build up its military capabilitie..

안보 2022.09.13

북한 ‘핵정책화 장기전’ Vs 한국 ‘자유진영 블록화’

North Korea’s ‘long-term war on nuclear policy’ Vs South Korea’s ‘free camp block’ 북한이 핵 정책화로 장기전에 들어갔고 한국은 ‘자유진영’의 블록화를 시도하고 있다. 후치우핑 말레이시아국립대 교수는 "향후 5년간 방역 제한으로 북한 사회와 현지 고위층에 접근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매우 도전적 한반도 시나리오 갖게 될 것"이라며 "제3자가 한반도 이해 당사국들 사이 대화 위한 중립적 플랫폼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북한이 중국, 러시아와 장기적으로 밀착하며 그 어느 때보다 위협이 될 군사력 증강과 핵무기 현대화를 계속하는 것을 지켜보게 될 것"이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13일 밝혔다. 김성한 안보실장은 12일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유엔..

안보 2022.09.13

North Korea's 'nuclear-based disarmament negotiations' South Korea's 'refusal of economic exchange for denuclearization'

On the 8th,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North Korea adopted the nuclear force policy-related laws and switched from the "nuclear-based negotiations" to the "use of nuclear weapons" in the event of a conflict with South Korea, and refused to trade with the economy in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North Korea's new ordinance "is aimed at reducing the risk of nuclear war as much as possib..

안보 2022.09.09

북한 ‘핵토대 군축협상’ 전환 남한에 ‘비핵 경제 교환거부’

North Korea's 'nuclear-based disarmament negotiations' South Korea's 'refusal of economic exchange for denuclearization'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8일 핵무력정책 관련 법령 채택으로 ‘핵토대 협상’에 남한과의 충돌시 ‘핵 사용’으로 전환하고 비핵협상에서 경제와 교환을 거부했다. 북한의 새 법령은 “핵무기 보유국들 사이의 오판과 핵무기의 남용을 막음으로써 핵 전쟁 위험을 최대한 줄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핵무기 또는 기타 대량살륙무기 공격이 감행되였거나 임박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핵 사용권을 확대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8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로 "핵보유국으로서의 우리 국가의 지위는 불가역적이 됐다"라며 "..

안보 2022.09.09

바이든 ‘한국기업 대표 미국 노동자 우수해 투자’

Biden: ‘Korean company CEO invests in excellent American workers’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노동절 연설에서 ‘한국기업 대표가 미국 노동자 우수해 투자’하는 것으로 발언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노동절인 5일 중북부 공업지역인 밀워키 연설로 "한국 기업 대표가 나에게 그들이 미국에 오려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설명했는지 아느냐"며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환경과 가장 우수한 노동자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고 ‘연합뉴스’가 6일 보도했다. 바이든의 연설은 이어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실제 그렇다. 우리는 미국의 미래를 건설하고 있으며, 미래의 미국은 미국 노동자가 미국 공장에서 만든 미국산 제품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며 제조업 부활 의지를 ..

안보 2022.09.06

Electric vehicle subsidy US ‘strategic supply to free zones’ Korea ‘violation of FTA’

Regarding the US law on electric vehicle subsidies, the White House stated that the 'strategic supply of free zones' was 'Korea's interest', and the Korean government approached it as 'violation of free trade', and the gap widened. After the meeting in Hawaii on the 2nd, Kim said, "The US tends to think that the (inflation reduction law) has many advantages in terms of alliances and economic sec..

안보 2022.09.02

전기차보조금 미국 ‘자유지역 전략공급’ 한국 ‘FTA위배’

Electric vehicle subsidy US ‘strategic supply to free zones’ Korea ‘violation of FTA’ 전기차 보조금의 미국법에 대해 백악관은 ‘자유지역 전략공급’에 ‘한국 이익’으로 밝히고, 한국 정부는 ‘자유무역 위반’으로 접근해 격차가 더 커졌다. 김성한 안보실장은 2일 하와이 회의직후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동맹 차원이나 경제 안보 측면에서, 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 차원에서 상당히 장점도 많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김 안보실장은 설러번 보좌관과 안보실장 회담 결과에서 "(설리번 보좌관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가 한국 입장에서 마이너스보다 플러스가 많은 것 같다고 말하면서도 전기차 보조금 문제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

안보 2022.09.02

Yoon Seok-yeol's regime's 'US-centered response to China' is 'frustrated' as the trade deficit widens

The Yun Seok-Yeol Regime is frustrated by a growing trade deficit in the US-centered response to China's strategy to prioritize a strong dollar.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announced on the 9th that “increased imports of intermediate goods, reorganization of supply chains, and reduction of tariffs under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were the reason..

안보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