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46

국정원 ‘러시아 지원 정황 추정’ 바이든 행정부 ‘우발충돌 방지‘ 격차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estimates circumstances of support to Russia’ Biden administration ‘prevents accidental collisions’ gap 국가정보원이 미국 전문가들의 ‘불가능 진단’이 나온 이후 국회에 ‘러시아 지원 정황 추정 진단’을 보고하고 국방부가 한미국방장관의 ‘우발충돌 방지용에 남북군사합의 유용’을 안보문서로 합의한 것을 파기하면서 바이든 행정부와 격차를 뒀다. 한미 국방장관은 2021년 공동성명으로 ‘남북한군사합의 우발충돌 방지 효과 공감’에 서명했고, 지난달 13일 서울에서 신원식 국방장관은 "북한 미사일 위협 대비 미국 조기경보위성 정보공유체계(SEWS) 협력 더욱 강화"로 공동성명을 발..

안보 2023.11.24

미국 이스라엘 Vs 중국 러시아 양극 경쟁에 이란이 ‘전쟁억제’

Iran's “war suppressing war” due to the US-Israel VS China-Russian anode competition 미국 대통령의 이스라엘 방문과 1천억 달러 지원에 러시아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서 이란 가세로 양극화에서 하마스 전쟁 확대 여부는 미국의 이란 통제로 압축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전문가 진단으로 러시아와 이란이 지역 전쟁으로 확대를 꺼리고 있다며 헤즈볼라의 참전 억제 수단으로 항공모함 두 척을 파견했다고 19일 밝혔다. 라이히만 대학의 정부 외교 전략학교의 이란 전문가 오리 골드버그는 "이란은 지금 당장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며 "이란은 속임수, 게릴라 캠페인 및 대리인을 좋아하지만 전쟁은 좋아하지 않는다. 그들은 아랍 전투기를 기꺼이 지원하지만..

안보 2023.10.20

미국 ‘분쟁확대 억제’ 러시아 ‘안보리 정전결의’ 팔레스타인 ‘이주거부’

US ‘suppresses expansion of conflict’ Russia ‘Security Council ceasefire resolution’ Palestine ‘rejects migration’ 미국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개입에 ‘분쟁확대 억제’를 밝혔고 러시아는 ‘유엔 안보리 정전결의’를 공식화했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가지지구에 대해 ‘이주 거부’를 미국에 밝혔다.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이 임박해 진 14일 바이든 미 대통령은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대통령과의 첫 통화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 특히 가자지구에 긴급히 필요한 인도적 지원"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이날 제안했다. 백악관은 이날 성명서로 바이든 대통령이 하마스 공격 이후 정기적 대화를 나눴던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안보 2023.10.15

젤렌스키 미국 사모펀드에 ‘재건’ 윤석열 공적자금 23억달러 지급

‘Reconstruction’ to Zelensky’s U.S. private equity fund, Seok-Yeol Yoon pays $2.3 billion in public funds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미국 최대 사모펀드 불랙록 등과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협의했고, 직전 윤석열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안보 재건 지원으로 공적자금 23억달러 공여를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2일 “뉴욕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투자 기회가 논의되는 동안 Michael Bloomberg 회장, 미국 최대 자산운용사 Larry Fink 불랙록 회장, 해지펀드 거물인 Bill Ackman 퍼싱스퀘어 회장을 포함한 사업가들을 만나 러시아와의 전쟁 후 우크라이나 재건에 대규모 투자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확..

안보 2023.09.25

중국 주도 브릭스에 사우디 이란 신규가입 아프리카 진출 강화

China-led BRICs join Iran and Saudi Arabia to strengthen their entry into Africa 신흥 국가 모임인 브릭스(BRICS)에 사우디와 이란 등 6개국 도입 확장에 합의하고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 진출이 커졌다. 남아공에서 24일 열린 브릭스는 중국, 러시아,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중동의 3개 회원국으로 확장돼 친미이던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에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지자인 강렬한 반미국가 이란이 가입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확장은 그룹의 두 주요 구성원에게 중요한 승리로 간주되어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을 높이고 러시아의 고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며 “테헤란과 오랜 관계를 맺고 있는 개최국 남아프리카공화국도 이란의 ..

안보 2023.08.25

미 정보기관 의회에 ‘프르고진’ 사전 보고, 바이든 ‘우린 관여하지 않았다’

U.S. intelligence agency pre-reported ‘Prugozine’ to Congress, Biden ‘we were not involved’ 미 정보기관들이 프리고진을 지속 도청했고, 반란 사태 3-4일전 의회에 보도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우린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미 정보 당국자들은 이번 주 초(19일경 추정) 8인조(Gang of Eight)로 알려진 의회 지도자들에게 러시아 근처에서 바그너 그룹의 움직임과 장비 구축에 대해 브리핑했다고 두 사람이 CNN에 말했다고 24일 보도했다. 미국 정보관리들은 “푸틴 대통령이 결국 봉기가 외국의 음모의 결과라고 말할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했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가 26일 보도했다. 백악관은 반란에 대한 첫 번째 논평에서 바이든..

안보 2023.06.27

윤석열 ‘압도적 힘’ 미국 ‘대화 외교’ 러시아 ‘역내 불안정' 중국 '진영대결'

Yoon Seok-yeol ‘overwhelming power’ US ‘dialogue diplomacy’ Russia ‘regional instability’ China ‘camp confrontation’ 윤석열 대통령은 방미 성과에 대해 ‘압도적 힘에 의한 평화’를 밝히고, 이에 미 국무부는 ‘한반도 비핵화로의 대화와 외교’를 말하고, 러시아 외교부는 ‘역내 불안정‘으로, 중국 외교부는 ’진영 대결‘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2일 국무회의를 공개 생방송하며 "상대의 선의에 기대는 가짜 평화가 아닌 압도적인 힘에 의한 평화로 미래 세대들이 안심하고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튼튼한 안보를 구축하겠다"며 "앞으로 미 핵 자산의 운용에 관한 정보 공유, 공동 계획, 공동 실행 과정에서 워싱턴 선언을 잘 구체화..

안보 2023.05.02

윤석열 ‘안보리 이사국 비협조로 워싱턴선언’ 중국 러시아 지목

Yoon Seok-yeol points to China and Russia in the Washington Declaration of Noncooperation as Security Council Member States 윤석열 대통령이 워성턴선언에 대해 ‘안보리 이사국 비협조’를 배경으로 밝혀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했다. 앞서 미 의회 연설에서 윤 대통령은 소련 중국의 한국전쟁 책임에 대해 직접 거명했다. 윤 대통령은 '워싱턴 선언'으로 한중 관계 악화에 대한 하버드대 나이 교수의 질문에 "이번 워싱턴 선언은 북한 핵 개발이 고도화되고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결의를 위반한 행위에 대해서도 안보리 이사국들이 거기에 협조를 좀 충분히 하지 않은 탓에 핵 위협이 대단히 구체화됐다"며 "한국뿐 아니라 일본, 미..

안보 2023.04.29

G7 '대만해협 평화’ 윤석열 ‘대만문제 무력’ 중국 ‘봉쇄 오만 편견’

G7 ‘Peace in the Taiwan Strait’ Yoon Seok-yeol ‘Arrogance on the Taiwan issue’ China ‘blockade arrogance prejudice’ G7외무회담이 공동성명에 ‘대만해협 평화 안전’을 명시한 반면 윤석열 대통령 ‘대만문제 일방적 무력 시도’로 발언하고, 중국은 G7회담에 대해 ‘봉쇄 오만 편견’으로 비난했다. G7외무장관 회담은 18일 공동성명으로 “하나의 중국 원칙을 포함해 G7 회원국들의 타이완에 대한 기본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국제 사회의 안전과 번영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타이완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다”고 밝혔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을 반대하고 봉쇄..

안보 2023.04.20

미국 독일 러시아 중국 4강 우크라이나전 ‘핵 협상’ 접근

U.S., Germany, Russia and China Approach Nuclear Negotiations Against Ukraine 선거를 앞둔 미국과 독일이 러시아와 중국의 연대에 맞서 새로운 4극 체제가 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협상’이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벗어나 ‘핵 협상’으로 전환됐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 독일 슐츠 총리는 3일 이례적으로 기자단 동행없이 백악관에서 비공개 회의를 열고 기자회견없이 헤어졌고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 협상 지위를 언급했다. 이날 긴급 회담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바이든 대통령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중국이 모스크바에 무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서방의 지원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연합 전선을 보여주었다..

안보 202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