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Chang-yong ‘China’s growth rate fluctuates by half in Korea, 1.8% good excluding IT’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동결 결정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한국성장률 1.1%에서 0.5% 등락’을 말하고, 미 연준 이사는 ‘6월 금리인상 가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중국 경제 회복이 지연되고 선진국의 금융 불안 확대되는 시나리오에서 성장률 1.1%, 중국 성장 동력 강화되는 시나리오에서 성장률 1.6%”라며 “정보기술(IT) 제외하면 경제성장률 1.8% 수준”이라 말해 ‘중국 경제가 한국 경제성장률의 절반인 0.5% 등락 결정’ 구조에서 'IT제외시 1.8% 성장'으로 금리동결을 25일 밝혔다.
이날 미국과 중국은 워싱턴에서 열린 상무장관 회의로 “반도체와 수출 통제 외국인 투자 제한” 등에 협의를 지속했다.
미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5월 회의에서 “연준의 기준금리가 차입, 지출, 인플레이션 둔화시킬 만큼 충분히 높은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내려가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 한 금리 인상 중단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6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지 건너뛰어야 할지는 향후 4주 동안 데이터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고 AP가 보도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수출 주력품인 IT에 대해 “정보기술(IT) 부문을 제외하면 경제성장률은 1.8% 수준을 유지”라며 “1.4%의 성장률 비관적인 것 아니다”고 말해, 반도체 중국 수출급감으로 무역적자가 발생 구조를 중국과 IT 동시 배제의 한국 경제체제 미국의존 선호를 밝혔다.
파월 미 연준 의장은 3일 금리 인상 후 기자회견에서 향후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포기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으나 얼마나 많은 관리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선호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25일 공개된 FOMC 회의록에 따르면 "일부" 관리들은 연준이 6월에 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이라는 신호가 "중앙은행이 곧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싶어했다고 AP가 25일 보도했다.
미국 금리에 대해 “3일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p 인상)'을 끝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더 이상 긴축 페달 밟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5월 인상이 사실상 마지막 금리 인상이라는 분석이다"고 매일경제가 4일 보도했다.
한국 언론 대부분은 미국이 5월에 금리동결이고 6월부터 하락세를 보도했다.
미 연준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3일 발언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으며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향해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면서 “연준이 6월 중순에 열리는 다음 회의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회의록에 남겼다.
추경호 부총리는 국회 답변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지난 4월에 그나마 가장 작은 폭이었는데 5월에는 작년 기저효과 등으로 좋지 않을 것"이라며 "5월이 지나면 적자 폭이 개선되고 4분기에는 지금과 전혀 다른 모습의 대외실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21일 말했다.
5월 1∼20일 수출액은 324억4천3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1% 감소했고 무역적자는 43억400만달러이다.
한국은행은 25일 ‘수정 경제전망’으로 경제성장률을 2월에 내놓은 1.6%)에서 0.2%p 낮춘 1.4%로 수정했고,중국 경제의 회복에 따라 금융불안 확대 경우 성장률 1.1%이고, 중국 성장이 강화되면 1.6%로 추정해 0.5% 등락이 중국 경제에서 나왔다.
이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정보기술(IT) 부문 제외하면 경제성장률 1.8% 수준 유지할 것”이라며 “1.4%의 성장률은 비관적인 것 아니다”고 한국 수출의 주력품을 성장률 분석치에서 처음으로 제외시켰다.
이 총재는 이날 민간 소비만 올해 2.3% 증가를 앞지른 설비투자 감소 -3.2% 건설투자 감소 -0.4%의 경기하강에서 재화 수출 0.4% 소폭 증가 구조를 밝히며, 반도체 재고 급증과 수출 급감에 의한 무역적자 체제 대안으로 “노동·연금·교육 포함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어 “문제는 개혁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해 당사자 간 사회적 타협이 어려워 진척이 안 된다는 것”이라며 “수요자가 아닌 공급자 중심의 논의를 해 한 발짝도 못 나간다”고 비판했다.
이 총재는 개혁안으로 학생의 자유로운 대학 전공 탐색과 연금개혁, 해외 노동자 활용 등의 논의 경직 문제에서 경쟁력이 높은 산업 분야인 서비스와 의료의 해외 수출 금지 타개의 구조조정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