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rong dollar transforms the global economy,the Bank of Korea takes a hit due to errors in expectations of interest rate cuts
강달러가 세계경제를 변환시키면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기대치’ 오류가 세계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위험성을 보인다.
블룸버그가 추적하는 150개국 통화 중 3분의 2가 강달러이고 이들 국가의 강달러는 20년래 최고치인 기준금리를 언제, 얼마나 인하할지에 대한 ‘기대의 변화’에서 비롯됐다고 뉴욕타임스가 29일 밝혔다.
올해 초만 해도 세계 경제를 끌어올릴 수 있는 미국의 예상 밖 강력한 성장이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우려을 누르고 압도하기 시작했다.
골드만 삭스의 애널리스트 카막샤 트리베디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와중에도 인플레이션이 끈적끈적해서 미국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그 영향은 더 ‘불길’ 수 있다”며 "우리는 그 정점에 서 있다"고 NYT에 밝혔다.
아시아를 집중 강타하고 한국을 덮치고 있는 강달러는 정책 입안자들은 금리를 인하하여 국내 경제를 지원하거나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자국 통화를 지지하는 것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엔화는 달러 대비 하락세에서 29일에 1990년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을 넘어섰다.
미국 연준의 인플레 대응 고금리 정책과 대조적으로 일본 중앙은행은 수십 년 동안 저성장에 제로 금리 정책에서 올해에야 금리를 인상을 시작했다.
일본 관료들은 미묘한 균형 미세 조정 정책으로 금리를 인상하되 성장을 억누르지 않도록 너무 많이 인상하지 않고, 균형 조정의 결과로서 제로 금리 정책을 유지했고 엔화 약세를 용인했다.
엔화 약세가 장기 지속되면서 투자자와 소비자가 일본 경제에서 더 많은 자금을 해외로 이전할 위험이 상존했고 지나친 강달러 대응책은 이 균형점을 타고 있다.
중국 위안화는 부동산 위기와 국내 소비 부진으로 경제가 타격을 입은 금융 시장에서 일본 방식을 원용해 좁은 범위 내에서 통화 정책을 유지하려고 최근 위안화 약세를 허용했다.
중국의 강달러 용인 정책은 달러가 금융시장과 다른 국가의 정책 결정에 가하는 압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NYT가 진단했다.
미국 외교협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선임 연구원이며 전 재무부 이코노미스트인 브래드 세서(Brad Setser)는 "위안화 약세는 강세의 신호가 아니다"라며 "중국 경제가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만큼 강한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NYT에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정책입안자들은 다음 회의인 6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 신호를 보냈다.
NYT는 유럽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할 경우 유로존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져 유로화가 더욱 약세를 보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아일랜드 중앙은행 총재이자 ECB 이사회 위원 26명 중 한 명인 가브리엘 마크로프는 정책을 수립할 때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무시할 수 없다"고 NYT에 말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 연준의 높아진 금리가 미국 자산이 세계 다른 국가의 자산 대부분보다 더 나은 수익률을 제공을 의미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보다 높은 수익의 미국 자산을 매수하기 위해 달러가 필요하고 미국으로 돈이 더 흘러 들어갔다.
최근 수개월 간의 강달러에는 돈이 유럽 브뤼셀에서 아시아의 베이징, 캐나다 토론토에서 도쿄에 이르기까지 정책 입안자와 정치인과 자산가들이 느끼고 있는 힘에 따라 미국으로 흘러 들어갔다.
달러가 강세는 각국이 자국 통화를 동일한 양의 달러 표시 상품으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세계 외환 거래의 90% 비중인 달러의 강세가 국제적 인플레이션을 더 심화시키고 있고 마침내 엔화는 미국 달러 대비 34년래 최저치로 160엔 대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위안화는 당국자들이 위안화를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약세 조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로화와 캐나다 달러도 강달러에 대해 약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원화는 2022년 이후 가장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행 총재는 외환시장에 대응해 "과도하다"고 말했다.
그만큼 달러 강세는 아시아가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무디스의 애널리틱스(Moody's Analytics)의 제시 로저스(Jesse Rogers)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세계의 중앙은행이라는 사실이 이보다 더 진실한 적은 없었다"고 NYT에 말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그 영향은 빠르고 광범위하며, 이미 주요 교역 상대국에 대한 미국 통화의 전반적 강세를 측정하는 달러 인덱스는 2000년대 초반(미국의 고금리 시대)의 마지막 수준이 됐다.
NYT는 한국과 태국의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하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24일 25bp 인하된 6.25%로 금리 인상을 단행해, 2016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깜짝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위험 회피 심리 증가와 미국의 정책 완화 시기 지연으로 4년래 최저치로 떨어진 루피아화를 지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페리 와르지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는 이날 "이번 금리 인상은 글로벌 리스크 악화 위험에 맞서 루피아 환율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NYT는 각국의 중앙은행들 대처에 대해 “달러의 강세가 전 세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반향을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이집트, 레바논, 나이지리아와 같이 올해 가장 빠르게 하락한 일부 통화는 달러 강세로 인한 압박으로 인해 더욱 어려워진 국내 문제를 반영한다”고 밝혔다.
최근의 강달러 현상에 부심하는 각국 중앙은행에 대해 무디스의 애널리스트 로저스는 "우리는 폭풍의 가장자리에 있다"고 NYT에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