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사태 정보와 외교, 거래와 협상 충돌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에 6자회담 복귀를 조건으로 북중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는 일본 언론 보도와 관련 청와대는 “설사 '평화와 비핵화의 맞교환을 6자회담 틀 안에서 해결하겠다'는 말은 아니지 않겠느냐"고 대응했다. 북이 남에 ‘평화와 비핵화 교환’을 제안해 한국이 나서 북.. 카테고리 없음 2018.04.06
체제보장협상 북미간 격차에 ‘카다피 작전’ 고개 북미간 게임에서 리비아 핵협상을 떠올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정보기관이 총 동원된 리비아 핵 협상거래는 국제 정보전쟁의 완결판으로 보였다. 역으로 그 종결점은 리비아 비핵화의 외형과 달리 이스라엘의 이란 무기 중개판매와 같은 전략의 이중성과 이의 연장으로 리비아 카.. 카테고리 없음 2018.03.16
한미훈련 재개에도 ‘합의우선’ 청와대의 함정 연기 합의후 훈련재개에 대해 합의가 필요하다는 문재인 정부의 주장이 국제협약의 한미간 새 불씨를 만들었다. 청와대는 28일 한국 정부가 최근 미국에게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재연기하자고 요청했다는 미국 더힐지 보도에 대해 기자들에게 "사실과 다르다"면서 "미국에 재연기 요청을 .. 카테고리 없음 2018.03.01
남북중미일 5국체제만든 평창평화 전략속성 남북간 평창평화조성을 위한 비밀접촉과 조건이 일본 언론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평창을 평화올림픽으로 지칭한 한국 정부는 지난해 11월과 12월 비공개로 비공개 인사가 2차례 중국 베이징을 경유 평양을 방문했고,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요청하고 북한의 요구조건인 한미합동.. 카테고리 없음 2018.02.18
군축 조건미흡에 평창외교 북미중매 좌절대가 북미간 만남을 주선하려던 평창외교는 불발에 그쳤고 북한 대표단은 청와대를 방문해 남북간 정상급 대화를 갖었다. 북미간의 중매외교 접근은 한미간 군비증강 외교와 북한의 대외과시용 군비증강의 접점 조성에서 고배를 마셨다 중매외교의 수혜자였던 한국이 중매외교의 접근에 빗.. 카테고리 없음 2018.02.10
군비경쟁 기저 키신저 압박, 평창의 비핵화 대화 장벽 미국의 원로 외교 인사인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은 25일 미 상원 청문회에서 “한반도 비핵화로 가는 최선의 경로는 기존의 6자 포럼 부활을 통한 합의”라며 “그게 실패하면 미국과 중국에 의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가 공들이는 6자회담 재건이 미국 압박외.. 카테고리 없음 2018.01.27
남북합의에 긴장판단 불일치로 장애여전 고위급 회담의 남북합의는 보는 각도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일단 체육회담 성격을 고수한 북한의 전략은 성사됐고, 이를 정치회담으로 확대하려던 남한의 전략에 제동이 걸렸다. 남북 대화를 북미간 대화의 가교로 삼으려는 남한의 기본 접근은 북한의 제동에 더이상 접근이 차단됐다.. 카테고리 없음 2018.01.09
남북대화 재개, 협상 확대 양날의 칼 오는 9일 남북대화의 재개가 올림픽에서 진전할 가능성을 얼마나 될까. 문재인 정부 추진하는 남북정치회담으로의 전개 가능성과 한반도 긴장감은 상쇄될 수 있는가. 남북회담의 양측 대표는 남한의 먼저 6일 조명균 통일장관을 수석대표로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카테고리 없음 2018.01.07
평창구상, 청와대 언론플레이에 추진력 누수 문재인 대통령의 평창구상이 언론플레이에 의존하면서 전략 실효성에 누수가 이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평창구상에서 핵심사안인 '한미연합훈련 연기 미국에 요청' 사실은 지난 19일 KTX 경강선 대통령전용고속열차에서 미국 NBC와 단독 인터뷰에서 처음 밝혔고, 당시 청와대 홍보는 던.. 카테고리 없음 2017.12.22
'평창올림픽 北참가 다왔다' 팩트 진원과 증폭 문재인 대통령의 '북한 평창올림픽 참가 가능 시사' 발언이 나오기 직전,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기동 북한체제연구실장은 기자간담회(18일)에서 "(북한의 올림픽 참가 여부는) 김 위원장의 결심만 남은 것으로 안다. 참가 가능성을 더 높게 본다"면서 "북한이 나름대로 평창올.. 카테고리 없음 2017.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