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성명 22

미국 브라질 정상 ‘우크라이나평화’ 공동성명, JP모건 ‘재건투자 회의’

U.S.-Brazilian Leaders’ Joint Statement on Peace in Ukraine, JP Morgan’s ‘Reconstruction Investment Conference’ 미국 브라질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 평화’ 공동성명을 내고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미국 투자은행 JP모건과 재건 투자회의을 11일 각각 내놨다. 미국 브라질 정상회담 공동성명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을 위반하고 영토의 일부를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하는 것으로 합병하는 것을 개탄하고 공정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촉구했다"고 11일 밝혔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하며 "평화를 만드는 방법을 찾기 위해 러시아와의 전쟁에 직간접적..

안보 2023.02.12

윤 대통령 ‘탄소없는 원전복원’ 공동성명은 원전이 ‘청정경제’

President Yoon’s ‘carbon-free nuclear power plant restoration’, joint statement is nuclear power plant ‘clean economy’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UAE 정상회담에서 ‘탄소없는 원자력 시스템 신속 복원’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밝혔다. 양 정상의 공동성명은 원전에 ‘청정경제’로 명시해 “양 정상은 에너지 안보의 핵심이자, 청정경제 성장을 위한 주요 요소”로 밝혔다. 미국과 아랍에미리트(UAE)는 사전 협정된 1천억 달러 청정 에너지 협력사업으로 첫 자금인 200억 달러로 2035년 이전까지 15개의 새로운 기가와트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자금 투입을 UAE 국영통신 WAM이 14일 밝혔다. WAM은 UAE의 산업석..

안보 2023.01.18

UAE 미국과 1천억달러 한국 300억, 영국 인도 동시 ‘협약’

100 billion dollars with the US in the UAE, 30 billion in South Korea, UK India at the same time 아랍에미레이트(UAE)가 미국과 1천억달러 한국 300억 달러 에너지 협력 사업을 같은날 발표했고, 직전 영국 인도과도 연속적으로 에너지 ‘협약’ 관련을 쏟아내면 자베르(Jaber) 국영석유회사 대표(UAE 산업첨단기술장관)와 그가 세운 재생에너지회사인 마스다르(Masdar)가 중심으로 등장했다. 미국과 UAE는 15일 1천억 달러 규모의 청정 에너지 협력사업 중 첫 200억 달러가 2035년 이전에 15개의 새로운 기가와트의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UAE 국영통신사 WAM이 밝혔다. WAM은 UAE..

안보 2023.01.17

주한미군 대만 군사개입시 한국 ‘연합방위 상호공약’ 가동

In case of USFK military intervention in Taiwan, South Korea's 'Communal Defense Mutual Commitment' begins 대만에서 미국의 군사 개입 사태 발생시 주한미군이 파병되며 한국군은 ‘연합방위 상호공약’에 의한 ‘연합연습 확대’가 가동되고, 북한과 중국은 ‘조중우호조약’에 의해 공동 조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조현동 외교1차관은 14일 한미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에 대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한미는 연합방위 태세를 통해 확고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회의 참석 출국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는 4월 14일 워싱턴포스트에 “한미 동맹을 더욱 강화해야 하며, 중국에 강하게 대응하려면 미국과의 군사동맹에 기..

안보 2022.09.20

윤 대통령 한미정상에 ‘역내 자유‘ NYT ‘북한 방어’

'Regional freedom' NYT 'Defense North Korea' at the Korea-U.S. summit 윤석열 대통령이 한미일 3국 안보동맹에 대해 한미정상에서는 ‘역내 자유 평화‘로 합의하고, NYT 인터뷰에서는 ‘북한 방어’로 안보 용도를 각각 달리 표현했다. 윤 대통령은 뉴욕타임스 인터뷰로는 한미일 3국 안보체제가 ‘북한 대응용’이라 밝혔으나, 앞서 5월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의 연합연습 및 훈련의 범위와 규모 확대 위한 협의 개시 합의”에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한미일 3국 협력 중요성 강조”로 큰 격차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한미정상 공동성명에서 “역내 평화와 번영의 핵심축인 한미동맹은 (중략) 한반도를 훨씬 넘어 성장해왔다”며 “..

안보 2022.09.19

박진 외교장관 ‘IPEF 중국참여 유도’ 왕이 부장 ‘앞잡이’

Foreign Minister Park Jin ‘Inducing China Participation in IPEF’ Vs Foreign Minister Wang Yi ‘Informer’ 박진 외교장관이 ‘IPEF에 중국 참여 유도’ 전략을 밝혔고,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중국 포위 미국 패권에 앞잡이’로 대응해 한중 충돌이 시작되며 북한 비핵화에 대해 사실상의 '전쟁불사론'을 내놨다. 박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떠난 직후 KBS에 출연해 미국 주도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중국이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하겠다고 중국 대응 정책을 22일 공식화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한미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에서 “자유, 인권, 민주주의라고 하는 보편 가치 공유하지 않는 국가라 하더라도 세계 평화라는 차..

카테고리 없음 2022.05.23

한미정상 남중국해 중국인권 개입합의, 북비핵화는 충돌

Korea-U.S. summit agrees to intervene in Chinese rights in South China Sea, conflict ove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한미정상회담 결과인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을 넘어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 개입을 합의하고, 중국을 겨냥한 ‘인도태평양 인권’ 개입과 제3국 대응에 한미일 3국체제까지 합의했다. 지난해 5월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은 양국에 의한 ‘대만해협 평화 안정’이었으나, 이번 공동성명은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및 번영의 핵심 요소로서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으로 공동개입 근거를 확장했다. 공동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두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 공동 목표 재확인했다"고 말했으나, 조 바..

카테고리 없음 2022.05.21

일본 인도 ‘러시아 비난 배제' 합의 '진보번영' 접근

Japan-India ‘progressive prosperity’ approach to ‘exclusion of criticism from Russia’ agreement 일본 인도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외교해결’ 합의 공동성명을 내며 ‘러시아 비난’은 배제하고 인도태평양 ‘진보 번영’을 밝혔다. 기시다 일본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뉴델리 19일 정상회담 성명으로 "우크라이나의 분쟁과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해 심각한 우려 표명했다"며 "모든 국가는 무력 협박, 무력 사용 또는 현상 유지를 바꾸려는 일방적인 시도에 의존하지 않고 국제법에 따라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해야 한다"면서 러시아 비난은 배제하고 ‘대화 해결’을 밝혔다 일본 언론들이 보도한 공동성명은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규정하고 ..

카테고리 없음 2022.03.20

이인영 ‘한미 공동 추진’ 성 김 ‘정상회담 위배 거절’

이인영 통일장관이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에게 22일 “이산가족상봉과 금강산방문 한미 공동 추진” 요구를 정상회담 합의 위배로 보고 “한국 아이디어”라며 거절했다. 이 장관은 성 김 미 대표에게 “우리 정부가 구상하고 코로나 방역과 식량 등 민생 분야에서의 협력, 이산가족상봉과 금강산방문, 기후변화 분야에서의 협력 등은 한미가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공동으로 추진해볼 수도 있는 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고, 김 대표는 “한국 정부에서 여러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저희 또한 긴밀하게 그와 관련해 협조하고 싶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도 언급했듯이 한국의 의미 있는 남북 간 대화와 협력 등 여러 관여 정책에 대해 미국은 강력한 지지를 보내고 있다”고 답변한 것으로 한겨레가 이날 보도했다...

카테고리 없음 2021.06.22

중국서 수익내고 미국주도 반중국 동맹에 백신기금

한국의 최대 무역국 중국에 대한 ‘강제 노동’ 규탄 성명이 준비된 G7에서 한국이 백신 기금 2억 달러를 냈다. 영국의 G7정상회의에 대해 미국 대표단 관료가 "강제 노동 문제와 관련해서 논의가 이뤄졌으며 이 사안과 관련해 중국을 밀어붙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에 관해 다양한 견해가 있었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강제노동과 관련해 강한 성명을 낼 필요성에 대해 ‘단호한 언급’을 했다“고 영국 로이터통신에 12일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 보도에 앞서 미 당국자의 발언으로 “미국이 G7 정상들에게 중국의 강제 노동과 관련한 구체적 대응을 촉구하고 코뮈니케(공동성명)에 이런 비판 적시 요구할 것”이라 보도해 G7이 바이든 대통령이 주도하는 중국의 통제경제에 공동 전선 구축을 위한 모임으로 밝혔다. 미 백악관..

카테고리 없음 202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