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발언 파동' 반복에 청와대가 기댄 이유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남북대화와 북미대화 병행'을 새 전략으로 제시하고 문재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에서 '북 도발 중지면 한미군사훈련 중단 고려'를 말했다. 상호 맞물린 한반도 정세에서 돌파구 열기 전담자인 문정인 특보의 제안은 청와대의 현실 적용에서 순서의 문.. 카테고리 없음 2017.11.10
한반도 상설무기전시장 조성 대가 한국과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맞춰 서태평양 일대에 배치된 미 해군 핵추진 항공모함 3척과 11일부터 14일까지 한반도 해역에서 공동훈련을 진행하고, 양 정상은 한국의 수억 달러 무기 구매를 합의했다. 7일 정상회담과 8일 국회 연설을 통해 '이제는 힘의 시대다' '미국.. 카테고리 없음 2017.11.09
트럼프 발언 보도의 집단편견과 한국의 착각 트럼프의 힘바탕외교 승리 만들기 첫 모델로 한국을 확인하는 과정이 한미정상회담에 나타났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25분간 단독 정상회담과 30분간의 확대 정상회담을 가진 뒤 기자회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독재자가 수백만 명의 무고한 인명을 위협하지 .. 카테고리 없음 2017.11.08
정의용 안보실장의 오류, 매파의 속성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국회답변에서 "국가안보실은 평화를 지키는 강한 안보를 만드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전쟁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으로 국민을 지켜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6일 말했다. 외교부 강경화장관은 국회에서 6일 북한이 추가적인 핵·탄도미사일 도.. 카테고리 없음 2017.11.07
이방카 기금 기부자 한국과 일본의 차이 직급상 트럼프 대통령 보좌관인 딸 이방카 트럼프에 대한 한국 언론의 공격은 일본의 過恭에 집중됐다. 그러면서 "공주 대접을 받은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영향력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11월 8일 아베 총리가 뉴욕에서 당선자 트럼프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이방카 인.. 카테고리 없음 2017.11.06
안보동맹과 군사동맹, 전략과 정책 誤讀의 독소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 아시아 순방 첫 기착지인 일본에 도착 직전 기자들에게 "북한의 평화 정착 문제가 한중일 회담에서 중요한 부분이 될 것 같다"며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여부도 곧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3일 "한미일 3국 공조.. 카테고리 없음 2017.11.05
美 군사옵션 통보, 한국과 일본의 현격한 차이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일 미국 한국 일본언론 등과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의 가장 큰 목표는 한반도의 영구적인 비핵화를 위한 동맹 결집"이라면서, 대북 군사옵션에 대한 '사전 동의, 통보'에 대해 절묘한 대답을 내놨다. 군출신인.. 카테고리 없음 2017.11.03
한반도 문제 국제화로 방향 튼 '운전자론'의 장애물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이 한미일 동맹에서 "국제사회와의 공조"로 바뀌고 나토와의 안보협력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강경화 외무장관은 대통령의 국회연설 직후 1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과 만나 북한의 핵 무력이 "전세계적인 안보위협'이 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카테고리 없음 2017.11.02
사드해법 '한반도 국한' 족쇄밖의 새 이슈들 한중 사드갈등 봉합은 미중간 미사일 협상의 길을 트고 한국의 안보력을 한반도에 국한시켰으며, 해군중시 국방개혁 추진이 방향타를 상실하면서 군사충돌 위기에 한발 다가서는 새 이슈들을 만들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군사공격을 결정할 때 .. 카테고리 없음 2017.11.01
사드해법, 美 민주당 모방 '전략적 협력'의 난제 사드해법이 청와대와 중국 외교부간의 외교거래로 물꼬를 텄다. 해법은 한미일 삼각동맹에 제동을 걸어온 중국의 요구를 '안보협력'과 '안보동맹'을 분리하는 것에서 찾았다. 전개는 한국은 국회에서 외무장관이 공식발표하고, 이를 중국 외무부 논평으로 확인하는 수순이다. 강경화 외.. 카테고리 없음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