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무대로 35년전후 전쟁불사론 펼치는 미 공화당 강공파 유엔 무대는 35년전 레이건과 트럼프 공화당 정부간의 극적 대비를 이루고 한국에 그대로 직결되고 있다. 레이건 당시는 골수 반공주의자인 레이건의 열렬한 지지자인 진 커크패트릭 주유엔미국대사로 대소련 별들의 전쟁(스타워즈, 전략방위구상SDI) 여론전을 주도했고, 이번 공화당 강.. 카테고리 없음 2017.09.19
군사옵션과 미국 정보기관 한국진출의 의미 미국 군산복합체의 새 총아 민간군사기업(PMC)이 대북 문제로 한국 진출을 본격 시작했다. 특히 이런 진출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북핵 군사옵션의 정밀화가 동반돼 한반도의 준전시상황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미 국방부의 민간군사기업으로 정보수집분야 선두주자인 '부즈앨런해.. 카테고리 없음 2017.09.18
유엔 제재결의 '존중' 두고 한국과 중국 행태격차 유엔 대북제재결의가 있자 한국은 국내에서 인도적 지원을 발표했고, 중국은 유엔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해 대북제재 압박을 가하는 것은 유엔제재 결의를 벗어난 것이라 비난했다. 문재인 정부의 통일부는 15일 대북 지원 업무를 전담할 '인도협력국'을 부활시키고 대북 인도지원금 800만.. 카테고리 없음 2017.09.16
중국 WTO제소시도에 드러난 집단편견의 민낮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한국의 안보취약이 집단편견에 기초한 안보국수주의에 근거하고 있음이 속속드러나고 있다. 중국의 사드보복을 WTO에 제소하면 당연히 승리한다는 가상적 믿음체계도 실상은 구체적 검증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용.. 카테고리 없음 2017.09.14
경제냉전 서막, 대북제제에 미중 금융시스템 추돌 미국이 주도하는 중국 금융시장 때리기가 대북제재 안보리 결의를 기점으로 경제냉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초호황 답게 중산층이 최고의 소득을 올리고 고용율도 좋다. 유엔 대북제재를 같이 주도하며 미국 금융지원을 받는 한국은 실업율 최악의 하락세이며, 수출전선에도 이.. 카테고리 없음 2017.09.14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한반도 첩보전 촉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본격적인 한반도 첩보전 촉발을 겨냥하고 있다. 특히 북한 영토의 가스파이프라인 건설과 원유 탐사 등으로 북한 안팎으로 정보탐색과 교란 전략이 치열한 각축전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12일의 유엔 안보리 대북 추가 제재안 2375호의 통과는 관련 당사국의 .. 카테고리 없음 2017.09.13
저금리에 저환율, 자금이탈속 수출저조 이상징후 채권 금리가 방향성을 상실해 장기물이 상승하고 단기물이 하락세다. 주식에서 외국인의 매도세는 좀처럼 꺽일 줄 모르고 8월에 주식 2조5천억원, 채권에서 2조1600억원 규모가 순유출됐다. 수출은 8월 초순에 지난해 대비 9% 정도 감소했다. 미국 금융시장은 더 이상 증세다. 미국 연준이 .. 카테고리 없음 2017.09.11
대북제재, 강경보수 전략이 남긴 손실 구조 유엔총회 18일 연설을 통해 존재감을 찾으려는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안보리 대북제재의 늪을 쉽사리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 운전석론이 미사일 정치와 핵 정치를 분리못해 미국과 중국의 틈새에 끼어버린 문 대통령은 마침내 핵의 국제정치에서 제자리를 찾지 못한채 안보부재의.. 카테고리 없음 2017.09.11
전술핵과 사드 결합, 안보국수주의 병리 압권 미국발 한국 전술핵 재배치 파동의 본질은 '한국 요청이 전제'라는 대목이다. 미국 NBC뉴스가 8일 백악관ㆍ국방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술핵을 한국에 재배치하고 일본의 핵무장을 허용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하자 한국의 야당은 전술핵 배체 국민운동을 선언했고, .. 카테고리 없음 2017.09.11
사드 유엔회부, 대북 원유차단과 맛물려 국제냉전 키워 한국 사드와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이 맞물리면서 국제 안보의 핵심 쟁점으로 자리잡았다. 대북 추가제재에서 주요 소재였던 원유공급 중단이 중국과 유엔안보리 결의에 국한됐던 상황에서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의 4각 체제의 팽팽한 대결 소재로 급진전됐다. 이 쟁점은 환구시보 사설을 .. 카테고리 없음 2017.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