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국수주의에 편승한 안보 국수주의 북한은 고립되고 중국은 편향된 국제시각으로 국제 강국이 되려해 곧 종말이 보인다는 예측은 국내 언론 어디서도 쉽게 발견된다. 한국식 언론 국수주의는 언제나 북한은 고립 상태고 중국은 세계화를 추진하지면 편견덩어리의 인권후진국에 머물러 있다. 그럼에도 북한의 체제는 국제.. 카테고리 없음 2017.09.09
신동방정책하 러일게임, 미사일서 항공경쟁 확장 북한 미사일 위협에서 일본이 미사일 방어력 강화에 나서자 중국이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일본의 안보력 강화는 러시아의 한반도 진출에 불씨를 당겨줬다. 그렇지만 한반도 전쟁 가능성을 진단하는 중국에서 볼 때 전쟁 피해 계측에서 러시아와 일본은 빠져있다. 중국은 러시아와 일본.. 카테고리 없음 2017.09.07
러ㅡ일 게임에 끼어든 힌국 도박의 허점 문재인 대통령은 러시아 일본의 갈등 증폭 현장에 끼어들어 한반도 위기관리의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북한발 한반도 위기가 처음 미사일 중심이었을 때 사드로 인해 중국이 게임의 중심이었던데 반해 점증하는 미국 해군과 뒤이은 킬체인은 북한 참수작전으로 공군의 비중이 높아지.. 카테고리 없음 2017.09.07
한반도 위기에 구리 폭등, 금값 유로화 지속 상승 북한 6차 핵실험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변동은 유로화 가치의 상승세 확인이 우선이다. 이보다 더 큰 폭의 상승은 전쟁위기론에 떠밀리듯 국제시장 금값이 1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그 이전부터 기산하면 가장 많이 상승한 것은 런던 시장의 LME(런던메탈 인덱스) 구리값으로 반년 사.. 카테고리 없음 2017.09.06
레드라인에 걸린 경제리스크의 진상 북한이 6차 핵실험으로 레드라인을 넘었다. 한미 군사훈련 중이었던 지난달 29일 중거리미사일을 발사한 후 며칠 만에 자칭 수소폭탄 핵실험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그리고 전 세계를 향한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 핵실험 직후 아시아 주요 증시가 흔들렸다. 코스피.. 카테고리 없음 2017.09.05
전쟁 가능에 한미간의 차이점 한반도 전쟁 가능성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시각 차이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한국은 4일 중심 국가기관인 국가정보원이 국회정보위 보고에서 오는 9.9절 전후해 정상각도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시험이 예상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국가정보원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이 언제든지 .. 카테고리 없음 2017.09.04
한반도 전쟁 가능성의 계측 기준 북한의 자칭 수소폭탄 실험으로 한반도 전쟁 가능성에 한층 가중치가 붙었다. 한국의 여론매체를 주도하는 군사안보, 시사평론 전문가들은 종편이나 여러 매체에서 전쟁 가능성에 보다 더 무게를 둔 논평을 어제4일 집중적으로 쏟아냈다. 이들의 주된 관점은 북한이 핵무기 시험으로 미.. 카테고리 없음 2017.09.04
한미FTA폐기로 美 공화당 전쟁불사론 고비넘나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을 둘러싼 미국 공화당의 전략이 재협상에서 폐기로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재협상 제시 카드를 거절한 한국을 요리하는 것이고, 미국내의 공화당 이미지를 굳히는 양면 전략에 가장 적절한 소재다 미국 보수주의 공화당 게열의 자유무역주의자.. 카테고리 없음 2017.09.03
'대화'가 빗어낸 신냉전의 극한 대치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가 '대화'로 양극화돼 신냉정의 무기로 돌변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도 문재인 대통령 처럼 북한에 대해 '대화에 나오라'고 말한 반면, 중국은 '무조건 대화하라'고 말하고,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대화에 조건이 있수 없다'고 중국과 같은 입장을 말했다. 문재인 대.. 카테고리 없음 2017.09.02
한미FTA재협상, 美 공화당의 민주당 공격 소재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을 둘러싼 새 이슈는 한국이 제기한 거시경제와 자유무역협정의 관련성 입증이다. 그것도 재협상 요구자인 미국에 대응한 한국측의 '경기침제로 무역적자 확대'에 대한 문제라서 한국이 입증 부담을 자초한 소재다. 그런 소재가 한국언론을 통해 워싱턴에서 던져 .. 카테고리 없음 2017.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