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 31

경제성장률 0.3%에 소비자극 방역이 ‘물가상승’

'Inflation rises' due to consumer stimuli prevention at 0.3% economic growth rate 3분기 경제성장율 0.3%에 소비자극 경기부양이 ‘위드 코로나’ 방역으로 물가상승이 우려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은 3분기 경제성장은 추가경정예산 집행 등의 정부 지출이 성장률을 0.2%포인트 높였다고 밝혀, 정부 기여분 빼고 0.1% 성장을 보였다. 통계청의 올해 3분기 물가상승률은 2.6%이고, 수비자물가는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에서 6개월 연속 2%대 상승에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발표는 26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3% 증가..

카테고리 없음 2021.10.26

3%대 물가상승에 2%대 성장의 고물가저성장 진입

Entering stagflation of 2% growth with 3% inflation 올 3분기(7~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6%에 기재부가 '회복 속도 둔화'를 15일 밝혔다. 기재부는 10월 물가상승에 3%대 가능으로 진단했고, 올해 성장률 ‘4%대 예상’은 재정수입으로 인한 것이라 정부 기여도가 빠지면 실제 경제성장률 2% 수준으로 보인다. 9월 취업자는 전년보다 67만1천명 증가했으나 30대가 1만2천명 감소하고, 60대(32만3천명) 20대(20만2천명) 50대(12만4천명) 40대(1만8천명) 순으로 증가해 경제 주력 30-40대가 약화됐다. 산업별로 정부 지원의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8만명) 운수·창고업(16만3천명) 교육서비스업(9만8천명)이 증가한 반면, 시장주도의 도소매업..

카테고리 없음 2021.10.15

3분기 연속 물가상승 초과에 증시 급락 겹쳐

The stock market plunged after exceeding inflation for the third consecutive quarter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분기 연속 2%대 중반을 넘어서고 정부는 10월 이후 물가상승 지속을 밝혀 3분기 연속 상승을 예고하고 10월은 증시 하락이 가세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월 0.6%, 2월 1.1%, 3월 1.5%에서 4월 2.3%, 5월 2.6%, 6월 2.4%, 7월 2.6%, 8월 2.6%, 9월 2.5%로 6개월 연속 2% 중반을 넘어섰다. 소비자물가가 2분기 연속 2%대를 넘은 것은 2008년 금융위기에 통화공급을 확대한 직후 2009년 8월(2.2%)부터 2012년 6월(2.2%)까지로, 당시보다 상승률이 훨씬 높다. 기재부는 6일 보도자..

카테고리 없음 2021.10.06

물가상승이 성장률 추월 수입증가율 수출 초과

Inflation has outpaced economic growth, import growth has exceeded exports 코로나 통화공급 확대에 경제성장율 보다 물가상승이 커지며 소득증가율이 낮아지고 수입증가율이 수출을 초과했다. 2분기 0.8% 경제성장율에 비해 소비자물가지수는 4월(2.3%)부터 5개월 연속 2% 이상 상승하며 8월에 전년보다 2.6% 상승률로 강해졌다. 체감물가인 141개 품목 생활물가지수는 8월에 전년동기보다 3.4% 상승했고 5월(3.3%), 6월(3.0%), 7월(3.4%)에 고공행진이다.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0.1%(전분기 대비)이나 명목 GNI가 2.4% 증가했고 전년대비에서는 9.0% 증가로 나와, 명목 GDP와 실질 GDP 격차가 최대로..

카테고리 없음 2021.09.02

군비증강 체제의 근원물가 상승가속 인플레 구조화

힘바탕 평화의 군비증강 체제에서 근원물가가 상승세를 강화하며 구조적 인플레이션을 보이고 있다. 물가 기조를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석유류 제외)가 7월에 1.7% 올라 3월(1.0%), 4월(1.4%), 5월(1.5%), 6월(1.5%)에 이어 5개월 연속 상승세가 확연해지며 군비확장이 집중된 문재인 정부 초기 2017년 8월(1.8%)를 보였다. 7월의 통계청 물가 지표는 지대 상승에 편승한 개인서비스 상승세에 전기 가스 가격 상승과 농축산물과 석유류 가격 오름세가 가세하며 전년동월대비 2.6% 상승률이 나왔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는 전년동월대비 1월(0.6%) 2월(1.1%) 3월(1.5%) 4월(2.3%) 5월(2.6%) 6월(2.4%) 7월(2.6%)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을 1.5배 이상 초..

카테고리 없음 2021.08.03

미 경기확장 둔화 물가상승에 스태그플래이션 경고등

미국이 2분기에 정부지원 축소에 물가상승과 실업청구 증가의 성장률 둔화가 확인돼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등이 나왔다. 미 노동부의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가 29일 40만명으로 발표되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문가 집계 예상치 38만명 보다 2만명 초과라고 보도했다. 미 상무부는 29일 2분기 GDP가 전기대비 연율 6.5% 증가로 발표했고, WSJ은 시장 예상치 8.4% 증가보다 크게 낮다고 밝혔다. 미 상무부는 발표에서 1분기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 앞서 발표했던 6.4% 성장을 6.3%로 하향해 경기확장의 둔화를 예고했다. 상무부 발표에서 코로나 경기반등의 주요 지표였던 자동차와 주택 가격 급등에서 급제동이 나타났다. 주택가격 급등세의 거주용 투자에서 1분기 13.3% 증가가 2분기에 9.8%로 감소했다...

카테고리 없음 2021.07.30

미국 5.4% 상승 비해 한국 6.4% 6월 물가상승 더 높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6월에 전년동기비 5..4%이고 한국은 6.4% 상승으로 더 높게 나왔다. 한국은행이 체감 물가 상승과 달리 통계로 6월에 전달 비해 ‘농산물 –2.1% 하락’이라고 21일 발표했다. 한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 통계는 전월 대비 0.4% 전년동월 대비 6.4% 상승하며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 연속 상승하고, 6월이 생산자물가지수가 역대 최고치라고 밝혔다. 통계는 특히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해 산출하는 국내공급물가지수에서 원재료4.5% 상승에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8.6% 상승이다. 통계는 특이하게 서민들 체감 물가와 달리 농산물(-2.1%), 수산물(-0.2%)이 6월에 하락했고 축산물(3.2%)만 상승이라 밝혔다. 한국은행은 6월의 생산자 물가 상승 주도는 공..

카테고리 없음 2021.07.21

미국 부양 편승 ‘고성장 물가상승’으로 지대이윤 강화

홍남기 부총리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에 편승한 고도성장 체제로 물가상승에 합의하며, 저금리 유지에 의한 지대이윤 경제 강화를 보였다. 홍 부총리와 이 총재는 2일 “추경 재정정책 경기회복 체감하도록 현재 기조 견지,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 금융불균형 누적 부작용 줄이기”에 합의한 것으로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했다. 통계청은 2일 6월 물가상승에 대해 전년동월대비 2.4% 상승에 3개월째 2%대 상승세 지속을 발표했다. 홍 부총리는 앞서 지난달 29일 33조원의 '슈퍼 추경안'을 의회에 넘기며, 소비자극을 최대화는 ‘카드 캐시백용 1조1천억원의 상생소비지원금’을 발표했다. 홍 부총리는 소비부양에 대해 "캐시백 정책으로 약 11조원 정도의 민간 소비 진작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카테고리 없음 2021.07.02

물가상승 최고 유럽 ‘더 상승’ 한국 ‘일시적’ 미국 ‘독점해소’

물가상승률이 최대로 오르자 미 대통령은 ‘독점 대기업 폐해 개선’을 공표하고, 유럽은 ‘더 상승’할 것으로 중앙은행이 예측한 반면 한국 기재부 차관은 ‘일시적’으로 판단했다. 물가상승에 대해 1조9천억 달러 인프라 투자를 시도하는 바이든 미 대통령은 ‘독과점이 물가상승 주범’이라며 4대 산업의 유통망 개선 연설 직후 공항 가는 길에 아이스크림가계 앞 사진으로 언론을 집중시켰다. 한국 언론들이 ‘군것질 바이든’으로 보도한 지난달 27일 바이든의 쿠야호가 커뮤니티대학 연설은 4%대로 오른 물가상승에 대해 “경쟁 해치는 기업 행위 근절하고 원자재 부족과 과도한 유통비용 문제 해결해 미국의 물가 안정 도모하겠다”며 독과점 기업들을 지목하고 “영세 사업자들과 가정경제를 힘들게 한다”고 강력 규제를 밝혔다. 물가상..

카테고리 없음 2021.06.02

인플레 진단 물가지수 판단 한·미간 격차

물가상승이 예상치 보다 높게 나오자 미국 증시가 급락했으나 한국 정부는 민간 예상치를 빼고 기저효과로 판단해 격차를 드러냈다. 12일 미국 NYSE 다우존스평균지수는 1.99%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2.67% 급락했다. 미국 CNBC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 3.6%보다 높게 전년대비 4.2%로 발표되자 나오자 증시가 하락세를 보였다면서 금융위기 직후 2009년 이후 최고속도라고 12일 보도했다. 기획재정부 이억원 1차관은 13일 거시경제점검회의에서 "4월 미국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공급부족과 이연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금번 상승의 주요 요인"이며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

카테고리 없음 2021.05.13